협회 소개
인사말
설립취지문
연혁
협회조직도
회원가입안내
함께하는 사람들
회원사
오시는길
커뮤니티
행사안내
언론보도
협회소식
자료실
세미나자료
유관단체뉴스
법령 자료실
게시판
공지사항
문의게시판
로그인
회원가입
협회 소개
인사말
설립취지문
연혁
협회조직도
회원가입안내
함께하는 사람들
회원사
오시는길
커뮤니티
행사안내
언론보도
협회소식
자료실
세미나자료
유관단체뉴스
법령 자료실
게시판
공지사항
문의게시판
로그인
회원가입
통합 검색
통합 검색
행사안내
언론보도
협회소식
언론보도
최신순
등록순
조회순
댓글순
'전기 안보'의 시대, 분산에너지의 역할과 의미는?
'전기 안보'의 시대, 분산에너지의 역할과 의미는? 권준범 기자 승인 2025.03.27 19:05 에너지안보환경協,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에너지신문] 전국에 걸친 전력망 병목 및 계통혼잡 문제를 전력안보 위협 차원에서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및 특화지역 지정에 대한 의미와 과제 역시 심도 있게 다뤘다.에너지안보환경협회는 27일 협회에서 '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 그 함의 및 과제'를 주제로 제
관리자
2025.03.28
조회수4
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개최
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개최기자명 강교식 기자 입력 2025.03.28 09:17수정 2025.03.28 09:41 “중소형 원자로 SMR, 분산형 전원으로서 장점 충분해 정부와 지자체, 에너지 기업 수용성 확보 적극 나서야” 전기도 지역이 알아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실험 임박 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 건국대 교수)는 27일 오후 2시,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협회 회의실에서 열고 ‘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 그 함의 및 과제’를 주제로 심도 있는
관리자
2025.03.28
조회수4
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7차 콜로키엄 개최
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7차 콜로키엄 개최 전기안보시대, 탄소중립·에너지 전략 다시 짠다‘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윤철순 기자 입력 2025.03.27 15:11 수정 2025.03.27 15:52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사단법인 에너지안보환경협회가 27일 오후 2시 협회 회의실에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 마감’을 앞두고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협회는 이날 ‘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 그 함의 및 과제’를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콜로키엄은 산업통상자원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 마감을 앞두고 진행돼 관심을 모았다.이번 콜로키엄에서는 전력 전문가와 에너지기업 관계자, 환경정책 전문가, 변호사 등이 참석해 전국 전력망의 병목과 계통 혼잡 문제를 전력안보 위협 차원에서 논의했다.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자원안보정책 연구실장은 강원·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하는 발전제약과 송전망 건설 지연 문제
관리자
2025.03.28
조회수4
“신재생·원자력 공존”…에너지안보환경협회, 분산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신재생·원자력 공존”…에너지안보환경협회, 분산에너지 패러다임변화 설소영 기자 승인 : 2025. 03. 25. 14:34 산업부 공모 앞두고 분산에너지 정책 방향 논의 활발전력 공급 안정성과 유연성 확보, 미래 에너지안보의 핵심 사단법인 에너지안보환경협회는 오는 27일 오후 2시 에너지안보환경협회의실에서 '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을 주제로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이날 콜로키엄에서는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자원안보정책 연구실장이 발제자로 나서며, 강원·동해안 지역에서의 발전제약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그는 신규 송전망 건설 지연과 계통 용량 한
관리자
2025.03.25
조회수7
원전 · 공항 등 에너지 기반시설물 불법 드론 위협 대책 시급
원전 · 공항 등 에너지 기반시설물 불법 드론 위협 대책 시급 우범식 기자 입력 2025.02.20 22:21 수정 2025.02.20 22:22 조종자 신원 파악 50% 못 미쳐… 국가 기반시설 방호 취약 드러나이웅혁 회장 “에너지기반 시설 맞춤형 Anti-Drone 체계 마련돼야”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전후방 드론 위협 구분 따른 대응 필요성 제기 사단법인 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 건국대 교수)는 18일 오후 2시, 제6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협회 회의실에서 열고 ‘에너지안보 기반시설과 대드론체계 운용,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이번 콜로키엄은 현재 드론 기술의 발전이 우리 사회에 긍정적
관리자
2025.02.25
조회수33
1
2
3
'전기 안보'의 시대, 분산에너지의 역할과 의미는?
'전기 안보'의 시대, 분산에너지의 역할과 의미는? 권준범 기자 승인 2025.03.27 19:05 에너지안보환경協,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에너지신문] 전국에 걸친 전력망 병목 및 계통혼잡 문제를 전력안보 위협 차원에서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및 특화지역 지정에 대한 의미와 과제 역시 심도 있게 다뤘다.에너지안보환경협회는 27일 협회에서 '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 그 함의 및 과제'를 주제로 제
관리자
2025.03.28
조회수 4
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개최
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개최기자명 강교식 기자 입력 2025.03.28 09:17수정 2025.03.28 09:41 “중소형 원자로 SMR, 분산형 전원으로서 장점 충분해 정부와 지자체, 에너지 기업 수용성 확보 적극 나서야” 전기도 지역이 알아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실험 임박 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 건국대 교수)는 27일 오후 2시,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협회 회의실에서 열고 ‘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 그 함의 및 과제’를 주제로 심도 있는
관리자
2025.03.28
조회수 4
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7차 콜로키엄 개최
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7차 콜로키엄 개최 전기안보시대, 탄소중립·에너지 전략 다시 짠다‘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윤철순 기자 입력 2025.03.27 15:11 수정 2025.03.27 15:52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사단법인 에너지안보환경협회가 27일 오후 2시 협회 회의실에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 마감’을 앞두고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협회는 이날 ‘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 그 함의 및 과제’를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콜로키엄은 산업통상자원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 마감을 앞두고 진행돼 관심을 모았다.이번 콜로키엄에서는 전력 전문가와 에너지기업 관계자, 환경정책 전문가, 변호사 등이 참석해 전국 전력망의 병목과 계통 혼잡 문제를 전력안보 위협 차원에서 논의했다.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자원안보정책 연구실장은 강원·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하는 발전제약과 송전망 건설 지연 문제
관리자
2025.03.28
조회수 4
“신재생·원자력 공존”…에너지안보환경협회, 분산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신재생·원자력 공존”…에너지안보환경협회, 분산에너지 패러다임변화 설소영 기자 승인 : 2025. 03. 25. 14:34 산업부 공모 앞두고 분산에너지 정책 방향 논의 활발전력 공급 안정성과 유연성 확보, 미래 에너지안보의 핵심 사단법인 에너지안보환경협회는 오는 27일 오후 2시 에너지안보환경협회의실에서 '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을 주제로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이날 콜로키엄에서는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자원안보정책 연구실장이 발제자로 나서며, 강원·동해안 지역에서의 발전제약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그는 신규 송전망 건설 지연과 계통 용량 한
관리자
2025.03.25
조회수 7
원전 · 공항 등 에너지 기반시설물 불법 드론 위협 대책 시급
원전 · 공항 등 에너지 기반시설물 불법 드론 위협 대책 시급 우범식 기자 입력 2025.02.20 22:21 수정 2025.02.20 22:22 조종자 신원 파악 50% 못 미쳐… 국가 기반시설 방호 취약 드러나이웅혁 회장 “에너지기반 시설 맞춤형 Anti-Drone 체계 마련돼야”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전후방 드론 위협 구분 따른 대응 필요성 제기 사단법인 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 건국대 교수)는 18일 오후 2시, 제6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협회 회의실에서 열고 ‘에너지안보 기반시설과 대드론체계 운용,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이번 콜로키엄은 현재 드론 기술의 발전이 우리 사회에 긍정적
관리자
2025.02.25
조회수 33
더보기
로딩중..